철종이 거처하던 용흥궁..
일억조 식당 바로 옆에 위치한 '용흥궁'
왠 한옥집이 있나 해서 구경하러 갔더니 조선시대 철종이 살던 곳이란다.
왕이 되기 전에 살던 곳이라고..
왕족인데 뭔가 외지고 구석진 곳에서 살았구나 싶은 곳이다.
원래는 왕족이었으나 평민으로 격하되어 강화로 유배와서 어렵게 살다가
차후에 왕의 양자로 들어가며 왕이 된 케이스.. 평범치는 않은 삶이었다.
대문도 골목 안쪽에 있어서 얼핏 지나치면 문이 어디 있는지도 모를듯 싶다.
안에 들어서면 마당과 안채가 있다.
옛날 한옥이라 그런지 확실히 문도 작고 집도 작고 다 작다.
마당도 작은 편이긴 한데 요즘 시대의 집들을 생각하면 오히려 엄청 넓게도 느껴진다.
이런 마당 딸린 집에서 살고 싶다. ㅠㅠ
부엌의 모습..
저런 가마솥이 놓인 부뚜막도 왠지 하나 갖고 싶고.. ㅋ
철종이 살던 집은 일반적인 작은 한옥집과 별 다를게 없어서
휙 둘러보는데 몇분이 채 걸리지 않는다.
대신 그 뒤쪽으로 언덕이 있는데
계단을 통해 언덕을 오르면 또 다른 건물의 입구가 나타난다.
저건 뭘까.. 첨엔 철종의 집에 딸린 또 다른 건물 혹은 저게 진짜 안채인가 싶었는데
강화 성공회 성당이라고 한다.
이런 곳에 성공회 성당이 있었구나..
계단을 올라 성당 입구에 종이 걸려 있는데
일제시대때 전쟁물자에 쓰려고 가져갔단다. 헐.. --;
이건 나중에 복원한 종이라고..
아 성당 올라올 때의 계단 난간도 뜯어갔단다. ㅎㅎ 대단한 니뽕이다.
지금의 난간도 복원된 거라고 한다.
성당의 외관..
보통 한옥의 형태는 옆으로 길고 중앙에 문이 있는데
이 건물은 성당의 특징에 맞게 앞뒤로 길게 지었단다.
한옥 지붕 위엔 아담한 십자가가..
한켠에는 비석이 놓여져 있다.
초대 주교였던 고요한 주교를 기념하는 비를 포함한 주교 4분의 비석..
내부는 이렇게..
조선시대의 느낌은 목재 건물이란거만 빼곤 전혀 들지 않는다.
한옥과 서양의 양식이 결합된 뭔가 이색적인 분위기..
성당의 입구에서 강화를 내려다본 풍경의 모습이다.
현재의 모습은 딱히 뭐 볼게 없을테지만
마을이 쫘악 내려다보이는게 당시엔 나름의 운치가 있지 않았을까 싶다.
'메뉴 네엣..'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 조양방직.. (0) | 2019.03.18 |
---|---|
강화 일억조 젖국갈비.. (0) | 2019.03.07 |
오목교 쿠마카세에서 오마카세.. (0) | 2019.02.12 |